아흔 살을 산다는 것은 어떤 것일까. 나이보다는 몸과 인지능력의 어떠함으로 삶의 끝을 떠올리는 나는, 아흔 근처에도 자기 삶을 스스로 주관하며 즐겁게 사는 두 할머니에게 화이팅을 보낸다. 부럽다는 말은 하지 않는다.
아래의 메모는, 두 젊은 여성감독이 카메라로 포착한, 늙어가는 사람들의 모습과 말들이다. 따스하고 각별하며, 때로는 역설적이어서 맛있고, 혹은 내 마음에 걸리적거린 장면과 대사들이다.
["미용실 사장님 메이블"]
아래의 메모는, 두 젊은 여성감독이 카메라로 포착한, 늙어가는 사람들의 모습과 말들이다. 따스하고 각별하며, 때로는 역설적이어서 맛있고, 혹은 내 마음에 걸리적거린 장면과 대사들이다.
["미용실 사장님 메이블"]
제11회 여성인권영화제 상영작 <미용실 사장님 메이블>ⓒ 한국여성의전화
파마 롤에 몇 가닥 잡히지 않는 할머니 고객의 숱 없는 머리카락, 당사자의 생전 부탁으로 시신의 머리를 염색했던 이야기, 미용 작업에 집중하는 메이블의 눈과 표정과 손길, 미용 의자에 앉으며 수다를 위해 보청기를 꽂는 할머니 고객, '내게 운전은 자유다.' '걸을 때 나 자신을 보고 있는 걸 느껴, 넘어지지 않으려고. 나이 들면 이런 순간이 와요.' (낙상은 노인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 이제 예순인 나도 계단을 내려갈 때마다 조심한다.) '손님들이 찾아오는 한 계속 할 거야.' 자기 미용실에서 25년간 직원으로 일했던 친구 할머니랑 서로 염색과 파마해주는 장면, 미용의자에서 일어설 때나 승용차를 타고 내릴 때 피차 어정쩡하게라도 서로를 부축해주는 모습. 95세 할머니의 말, '내가 그렇게 늙은 것 같진 않아.' 검버섯과 주름이 가득한 얼굴의 클로즈업. 아름답고 강하다고 서로 칭찬하는 할머니들. 생애 동안 거쳐 온 질병들. '그 시절엔 결혼하고 일(자영업)까지 하는 여자는 우리 동네에 나 하나뿐이었다'고 말하는 주인공의 자부심. 주인공이 보관한 사진들 뿐 아니라 그녀의 시대를 설명하는 기록사진과 영상자료들을 통해 개인사 뿐 아니라 사회사를 드러낸 다큐 작업.
["할머니의 운전면허 도전기"]
남들은 평생 하던 운전도 그만두는 시기에 평생 못해본 운전에 도전하겠다는 주인공. '죽어도 합격할 거야.'라며 필기시험만 석 달째, 열 번째 떨어지고 나서 자신에 대한 분노와 한탄을 섞어 '뱃속에 큰 응어리가 뭉쳐 있는 거 같아. 진절머리가 나. 어쩜 이리 멍청하담.' 불합격을 거듭할수록 (시간 경과에 따라) 점점 더 기능이 떨어지는 노인의 몸과 인지력. 운전대를 잡은 할아버지 팔의 가늘고 하얗게 쇤 털, '아흔이 아닌 여든 아홉(!)'을 강조하는 친구. 합격 후 첫 운전연습을 마치고 '운전대를 잡으니 내가 정말 자랑스럽더라. 침착하고 즐겁게 운전했어. 몇 번 실수는 했지만.' 친구들을 모아 면허증을 자랑하기 전에 제일 먼저 한 말, '다들 안경 썼수?', 마지막 장면 : 빨간 가죽잠바에 검정 가죽장갑과 썬글라스를 쓰고 빨간 색 차를 타고 힘차게 출발하는 백발의 여성노인.
["할머니의 운전면허 도전기"]
남들은 평생 하던 운전도 그만두는 시기에 평생 못해본 운전에 도전하겠다는 주인공. '죽어도 합격할 거야.'라며 필기시험만 석 달째, 열 번째 떨어지고 나서 자신에 대한 분노와 한탄을 섞어 '뱃속에 큰 응어리가 뭉쳐 있는 거 같아. 진절머리가 나. 어쩜 이리 멍청하담.' 불합격을 거듭할수록 (시간 경과에 따라) 점점 더 기능이 떨어지는 노인의 몸과 인지력. 운전대를 잡은 할아버지 팔의 가늘고 하얗게 쇤 털, '아흔이 아닌 여든 아홉(!)'을 강조하는 친구. 합격 후 첫 운전연습을 마치고 '운전대를 잡으니 내가 정말 자랑스럽더라. 침착하고 즐겁게 운전했어. 몇 번 실수는 했지만.' 친구들을 모아 면허증을 자랑하기 전에 제일 먼저 한 말, '다들 안경 썼수?', 마지막 장면 : 빨간 가죽잠바에 검정 가죽장갑과 썬글라스를 쓰고 빨간 색 차를 타고 힘차게 출발하는 백발의 여성노인.
제11회 여성인권영화제 상영작 <할머니의 운전면허 도전기>ⓒ 한국여성의전화
한편, 나는 의심한다. 나도 남도 불편하고 복잡하게 만드는 일이지만, 의심을 멈추지 않는다. 주인공이야 제 삶을 사는 것이니 주인공에게는 딴지를 걸지 않는다. 하지만 구태여 그 주인공들을 선택한 감독의 시선과 혹은 관객의 느낌을 의심한다.
두 영화는 캐나다의 백인, 이성애자, 비장애, 빈곤하지 않음, 상대적으로 건강함 등의 정체성을 가진 여성노인의 아흔 근처 삶에 관한 이야기다. 앞에서도 언급했지만 나름대로 의미 있는 다큐임은 인정하다. 하지만 수많은 여성노인 중 왜 그런 정체성을 선택했는지, 감독의 경험과 사유의 한계 혹은 게으름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캐나다에서 그 정체성의 상대편에 있는 여성들의 아흔 살 삶이 어떨 지를 상상해본다. 불행이나 비참 등을 상상한다는 말이 아니다. 오히려 비주류 여성노인들에게서 예상되는 고군분투를 통해 더 다양하고 첨예한 의제들을 다루는 것이 더 좋은 다큐라는 내 소신에서 하는 말이다.
명확한 논점을 위해, 내가 만난 우리 사회 아흔 근처 여성노인들에게 돌아와, 그녀들의 일상과 그녀들에 대한 주변 덜 늙은 사람들의 태도에 관해 이야기해 보자. 구술생애사 작업을 위해 내가 요즘 만나고 있는 대구 달성군 우록리 산골마을의 8090세대 여성노인들 이야기다. 그녀들은 올해도 농사를 짓고 있다. 1월에 만날 때는 '이젠 허리가 곯아서 농사는 끝'이라던 양반들이, 3월에 가니 농기구들을 챙겨 밭을 예쁘게 갈고 있었고, 8월에 가니 가뭄과 폭우에도 불구하고 젊어 하던 대로 풍성하고 깔끔하게 콩과 호박과 고추와 상추와 배추 등을 키우고 있었다. 화장기 없는 구릿빛 얼굴, 지팡이를 짚어도 꼬부라진 허리와 무릎, 문맹, 뒤틀린 손가락과 몸의 상처들, 거친 말투와 모난 성격에 담긴 몸 고생과 속앓이. 열 살 근처부터 시작한 농사일이니, 경력 칠팔십년의 농사 전문가들이다. 젊은 것들은 '병원비도 안 나오니 제발 그만두라'고 타박하지만, 그녀들 말로 '눈만 뜨면 해온 일이고 눈이 안 떠져야 끝나는' 일인 그야말로 일상의 노동이다. 평생의 자립이자 자긍이었고, 아흔에도 이어지는 자기 결정이며, 젊은 것들과 세상에 대한 자기 증명이다. "우리 죽으면 이런 농사는 이제 끝이야."
새벽이든 대낮이든 도시에서 재활용품을 줍는 여남 노인들의 노동과 욕망 역시 마찬가지다. 혹 다른 선택이 없는 징그러운 고생이라면 더더욱, 우리의 태도는 동정이나 자기불안이 아닌 존중이어야 한다. 이웃으로서 할 일은 구체적 말과 손길이며, 다큐 감독과 관객으로서 할 일이라면 카메라를 통한 정치적 실천이다.
두 영화는 캐나다의 백인, 이성애자, 비장애, 빈곤하지 않음, 상대적으로 건강함 등의 정체성을 가진 여성노인의 아흔 근처 삶에 관한 이야기다. 앞에서도 언급했지만 나름대로 의미 있는 다큐임은 인정하다. 하지만 수많은 여성노인 중 왜 그런 정체성을 선택했는지, 감독의 경험과 사유의 한계 혹은 게으름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캐나다에서 그 정체성의 상대편에 있는 여성들의 아흔 살 삶이 어떨 지를 상상해본다. 불행이나 비참 등을 상상한다는 말이 아니다. 오히려 비주류 여성노인들에게서 예상되는 고군분투를 통해 더 다양하고 첨예한 의제들을 다루는 것이 더 좋은 다큐라는 내 소신에서 하는 말이다.
명확한 논점을 위해, 내가 만난 우리 사회 아흔 근처 여성노인들에게 돌아와, 그녀들의 일상과 그녀들에 대한 주변 덜 늙은 사람들의 태도에 관해 이야기해 보자. 구술생애사 작업을 위해 내가 요즘 만나고 있는 대구 달성군 우록리 산골마을의 8090세대 여성노인들 이야기다. 그녀들은 올해도 농사를 짓고 있다. 1월에 만날 때는 '이젠 허리가 곯아서 농사는 끝'이라던 양반들이, 3월에 가니 농기구들을 챙겨 밭을 예쁘게 갈고 있었고, 8월에 가니 가뭄과 폭우에도 불구하고 젊어 하던 대로 풍성하고 깔끔하게 콩과 호박과 고추와 상추와 배추 등을 키우고 있었다. 화장기 없는 구릿빛 얼굴, 지팡이를 짚어도 꼬부라진 허리와 무릎, 문맹, 뒤틀린 손가락과 몸의 상처들, 거친 말투와 모난 성격에 담긴 몸 고생과 속앓이. 열 살 근처부터 시작한 농사일이니, 경력 칠팔십년의 농사 전문가들이다. 젊은 것들은 '병원비도 안 나오니 제발 그만두라'고 타박하지만, 그녀들 말로 '눈만 뜨면 해온 일이고 눈이 안 떠져야 끝나는' 일인 그야말로 일상의 노동이다. 평생의 자립이자 자긍이었고, 아흔에도 이어지는 자기 결정이며, 젊은 것들과 세상에 대한 자기 증명이다. "우리 죽으면 이런 농사는 이제 끝이야."
새벽이든 대낮이든 도시에서 재활용품을 줍는 여남 노인들의 노동과 욕망 역시 마찬가지다. 혹 다른 선택이 없는 징그러운 고생이라면 더더욱, 우리의 태도는 동정이나 자기불안이 아닌 존중이어야 한다. 이웃으로서 할 일은 구체적 말과 손길이며, 다큐 감독과 관객으로서 할 일이라면 카메라를 통한 정치적 실천이다.
제11회 여성인권영화제 상영작 <할머니의 운전면허 도전기>ⓒ 한국여성의전화
어떤 노동과 욕망에는 박수를 치고 다른 것에는 슬픔이니 우울 따위의 이모티콘만 불이고 마는 타성에 동의할 수 없고, 그 근거를 의심한다. '기껏해야 하루 몇 천원이나 번다고?'라는 타산은, 그렇게라도 해야 하는 처지와 '몇 천원'의 돈과 보람, 그리고 그 인생에 대한 멸시와 혐오다. 각자의 속으로 들어가자면 '나는 저렇게 늙지 말아야 하는데....' 라는 자기 불안이다.
우리 사회 가난한 노인들을 보며 심난하던 마음이 캐나다의 중산층 백인 여성노인들에 관한 영화로 좀 즐거워졌거나 부러워졌다면, 그건 기껏해야 건강함과 돈맛과 아름다움에 관한 신자유주의의 맹렬한 광고에 세뇌된 소비자의 선망이며, 보여주는 대로만 느끼는 노예 관객의 게으른 사유다. 고난을 견디며 살아낸 사람에게는 그만큼의 힘이 만들어져 있다. 혹 다큐 작업이 희망을 캐어내는 거라면, 고난을 견딘 힘 말고 어디에서 희망을 깰 수 있다는 것인가.
캐나다나 한국이나 진정으로 아름답고 강한 할머니들은 많다. 나는 다른 시선의 다른 영화를 보고 싶다.
우리 사회 가난한 노인들을 보며 심난하던 마음이 캐나다의 중산층 백인 여성노인들에 관한 영화로 좀 즐거워졌거나 부러워졌다면, 그건 기껏해야 건강함과 돈맛과 아름다움에 관한 신자유주의의 맹렬한 광고에 세뇌된 소비자의 선망이며, 보여주는 대로만 느끼는 노예 관객의 게으른 사유다. 고난을 견디며 살아낸 사람에게는 그만큼의 힘이 만들어져 있다. 혹 다큐 작업이 희망을 캐어내는 거라면, 고난을 견딘 힘 말고 어디에서 희망을 깰 수 있다는 것인가.
캐나다나 한국이나 진정으로 아름답고 강한 할머니들은 많다. 나는 다른 시선의 다른 영화를 보고 싶다.
'피움뷰어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아남은 이유> 리뷰 (0) | 2018.09.12 |
---|---|
나누고, 싸우고, 이기는 ‘말하기’ (0) | 2017.09.22 |
당신의 삶은 어떤 모습인가요? (0) | 2017.09.22 |
너무나 가벼워 보였지만실은 사소하지 않았던 (0) | 2017.09.22 |
성별 이분법을 시원하게 박살내는 언니들 (0) | 2017.09.22 |